나의 셀룰라이트 진행상태는 어느 단계인가?
적을 알아야 공략을 할 수 있겠죠? 나의 현재의 셀룰라이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에 간단한 도표가 있는데요. 그것을 보고 자신의 현 상태를 한번 체크해보세요.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1단계 - 피부를 살짝 눌러줘도 별다른 피부의(울퉁불퉁한 정도) 변화가 없는 단계입니다.
2단계 - 피부를 살짝 눌러주면 약간의 피부의 울퉁불퉁함이 생기는 단계입니다.
3단계 - 서있기만 해도 울퉁불퉁함이 보이는 단계 하지만 앉아있으면 안보이는 단계입니다.
4단계 - 항상 피부가 울퉁불퉁한 단계로 조금 심각한 수준의 단계입니다.
이렇게 일단은 단계를 나눠볼 수 있습니다. 우선 자신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속옷만 입은 상태에서 거울에 가서 자신의 엉덩이 아래쪽에 있는 허벅지살을 관찰해보면 알 것입니다. 허벅지부위에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부위입니다. 그리고 가장 노출이 일반적인 부위이니까요. 뱃살, 팔뚝살, 전완 등 몸의 모든 부위에서 간단하게 자기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살짝 살을 쥐어짜보면 자가진단이 가능하겠죠?
셀룰라이트가 여성에게 더 잘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일반적으로 셀룰라이트는 생기는 경향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뚜렷합니다. 이유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겠죠? 하지만 외적인 요인은 식습관과 관련하므로 후에 식단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고 일단은 내적요인으로 가보겠습니다.
우선, 남성에 비해 여성은 표피가 얇은 것이 이유입니다. 공기중에 접하는 표피가 얇기 때문에 더 쉽게 보이고, 더 쉽게 도드라져 보이는 것입니다. 즉, 같이 셀룰라이트가 있더라도 남성은 잘 안보이는 것이죠. 하지만 안심하면 안됩니다. 근본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피부구조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구조가 다르다는 것은 단지 다르다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약한 구조의 피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같은 지방이 피하로 쌓여도 그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외부로 밀어내기가 쉽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같은 양의 지방이 쌓여도 더 외부로 잘 드러나는 것이지요. 통상 남성의 경우 X자형태의 콜라겐 지지대를 가지고 있지만, 여성의 경우 수직형의 구조여서 지지력이 약합니다.
거기에 한가지 더하면 바로 타이트한 속옷도 셀룰라이트에 한몫 단단히 합니다. 타이트한 속옷은 혈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고것은 셀룰라이트의 생성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평생 타이트한 속옷에서 해방될 수 없는 여성은 셀룰라이트 관리에 더 철저히 해야겠지요.
셀룰라이트 관련 상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셀룰라이트를 없애는 각종 크림, 전자의료기기, 레이저 시술 등등 많습니다. 제가 어떻게 생각하냐고요? 그것에 대해서 회의적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셀룰라이트는 피부가 상대적으로 더 약한 백인여성에게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고 하는 사실에는 공감하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돈이라면 얼마든지 있는 부유한 스타들은 왜 셀룰라이트가 있을까요? 돈이 부족해서? 기기를 안팔아서? 오오~~글쎄요. 즉, 셀룰라이트에는 왕도가 없다는 것입니다. 식단관리 못하고, 운동안하고, 탄수화물를 사랑하면 누구나 셀룰라이트에서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평생 셀룰라이트 때문에 병원에 갈 수 없잖아요? 평생 병원에 다니면 투자대비 가성비도 많이 떨어지겠죠? 근본책은 운동이라고 생각하고 운동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답이 되었나요? ^^
노펫이 추천하는 셀룰라이트 맞춤 다이어트 방법!
셀룰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체지방과는 조금 다르다고 말을 합니다. 즉, 피하지방내의 섬유조직과 지방조직이 엉켜서 만들어진 질환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 질환의 관점으로 보면 당연히 치료를 위해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겠죠? 그럼 의사는 돈을 많이 벌겠죠? 그럼 의사는 소고기 사묵겠죠? 네. 좋습니다. 질환의 관점에서 본다면 당연한 논리구조입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주객이 전도되면 안됩니다. 저는 다이어트 전도사이니까 주를 운동으로 보겠습니다. 그리고 그게 맞는 것 같습니다. 죽을 때까지 한다고 생각했을 때 운동을 평생하실래요? 치료를 평생하실래요? 셀룰라이트가 생기는 뿌리를 해결하지 못하는 방법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운동으로 최대한 노력해서 지방을 잡고 그 이후에도 빠지지 않는 셀룰라이트가 있다면 그것은 치료요법으로 가는 것입니다. 우선은 운동으로 현재의 셀룰라이트를 더 악화시키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가정하고 맞춤 다이어트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성들이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운동은 빠르게걷기와 자전거입니다. 일단은 큰 경제적 부담없이 의지만 있다면 효과는 보장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일단 격일로 하루에 2시간씩 주6회 권장합니다. 100일만 해보시면 효과는 보장합니다. 제가 이와 관련해서 쓴 이전에 글이 있는데요. 제가 직접 해보고 추천드리는 운동이니 고생후 꿀기쁨 보장합니다.
경험위주의 관련글들 실타래
건강블로거 추천 자전거 다이어트 운동 실제 경험위주 체험기
셀룰라이트 잡는 노펫의 취향저격 맞춤 식단
일반적인 경우라면 지방이 많아서 고민을 하지 지방이 적어서 고민하지는 않겠죠? 그렇다면 일단 줄여야 합니다. 그런데 말그대로 지방을 줄이는게 다일까요? 프라이 먹을 때 까놀라유로 요리해서 먹으면 땡인가요? 노노~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밥을 줄여야 합니다. 자신의 현재 식단에서 흰정제 쌀밥만 빼세요. 현미로 대체하든 안먹든 상관없습니다. 우리가 먹는 반찬이나 각종 단백질에 탄수화물이 없을까요? 노노~있습니다. 밥을 먹지 않고는 버티지 못하겠다면 약간 탄수화물 중독이 있으실지도...
약간 단순한 방법이기는 한데요. 밥보다 질좋은 단백질에 더 신경을 쓰세요. 그리고 먹는 단백질의 약 2~3배 정도의 신선한 야채(탄수화물이 들어있음)와 과일(여기도 탄수화물은 들어있음)에 신경쓰세요. 예를 들어서, 단백질 150g 드신다면 야채와 과일을 300~450g 드시는 것이죠. 포만감을 가장 크게 줄 수 있는 야채와 과일의 비율은 자신이 직접 먹다보면 감이 옵니다. 그렇게 해서 불필요한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하세요. 일단 그렇게 식단을 잡아놓고 그 다음에 운동으로 체지방 감소에 부스트를 줄 수 있습니다. 참 쉽죠? 누구나 알 수 있는 상식에 가까운 내용이라 아주 절제하여 간단하게 썼습니다. 추후에 궁금한 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릴께요. 질문은 답단식으로 해주세요. 그래야 답변이 빨리 갑니다.ㅎㅎ
총평
지금까지 제가 추천드리는 모든 방법은 경험을 통해서 결과물이 검증된 방법입니다. 믿고 실천만 할 수 있는 본인의 의지만 있으면 됩니다. 셀룰라이트는 쉽게 없어지지 않습니다. 계속 몸에 불명예(운동하지 않고, 탄수화물 좋아하고, 게으른...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그렇게 보이겠죠?) 로 남아있겠죠? 하지만 지금처럼 방치한다면 산정상에 눈덩이를 산 아래도 던지는 꼴입니다. 점점 심각해질수 있다는 것이죠.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식단조절, 운동, 노력 그게 주해결법입니다. 치료는 운동다하고 나서 거들뿐입니다. 치료와 운동을 병행하면 좋겠지만 운동할 때 치료하면서 운동하면 운동의 의지에 방해됩니다. 운동 자리잡고 해도 늦지 않아요. 남 소고기 사주지 마시고, 운동하고 본인이 드세요. ㅇㅋ?
'다이어트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중에 다이어트 라이트 콜라 도움되나요? (1) | 2016.05.30 |
---|---|
다이어트 계란 노른자 하루 몇개까지 괜찮을까? (2) | 2013.09.12 |
방귀 잘 나오는 자세로 알아본 방귀 오래 참으면 건강에 해로운 진짜 이유 (10) | 2012.09.13 |
냉수 다이어트 1년에 5kg 감량하는 방법, 과학적 이유있었네 (11) | 2012.09.06 |
다이어트 스트레스 줄이면서 살빼는 방법, 칼로리 계산법을 바꿔라 (19) | 2012.09.05 |
줄넘기 다이어트 체중감량 도전 이면에 숨겨진 위험성 (17) | 2012.09.02 |
탄수화물 배제한 다이어트 위험할 수 있는 이유 (11) | 2012.09.01 |
직장인여성 H씨 다이어트 하면서 화장실에 가기 두려웠던 이유 (16) | 2012.08.30 |
나이들면서 자꾸만 늘어나는 뱃살, 원인은 따로 있었네 (14) | 2012.08.28 |
탄산음료 설탕이 다이어트에 치명적인 과학적 이유 (8) | 2012.08.27 |